생활법률2 ✍️ [경험 공유] 임금체불, 막상 신고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죠? 직장에서 열심히 일했는데 월급을 제대로 못 받는 상황…저도 “설마 설마” 하다가 결국 몇 달치 못 받은 경험이 있었어요.그때 너무 막막해서 여기저기 알아봤던 것들,처음 신고하려는 분들께 도움이 될까 싶어 글로 정리해봤어요.💡 어디에 신고해야 하나요?고용노동부 노동청이 담당이에요.온라인 신고는 고용노동부 민원마당에서 가능해요.직접 방문도 가능하고요.(검색창에 “고용노동부 + 지역명” 입력하면 위치 나와요.)📎 뭘 준비해야 할까?생각보다 복잡하진 않아요. 대신 기록과 증거가 중요해요.통장 입출금 내역: 월급 안 들어온 거 확인할 수 있는 자료출퇴근 관련 자료: 타임카드, 문자, 메신저 내용 등 다 괜찮아요근로계약서나 채용 공고: 없다면 문자나 구인글 캡처라도 남겨두세요급여 명세서: 있으면 더 좋아요📌 .. 2025. 3. 17. 묵시적 갱신 후 임대차 계약 해지, 알고 계셨나요? 임차인의 권리와 주의사항 여러분, 임대차 계약이 묵시적으로 갱신된 후에도 임차인이 자유롭게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이 놀라운 사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임차인의 권리를 제대로 알고 계신다면, 불필요한 분쟁을 피하고 더 나은 주거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묵시적 갱신, 그게 뭔가요?먼저 '묵시적 갱신'이란 무엇일까요? 간단히 말해, 임대차 계약 기간이 끝났는데도 임대인과 임차인 양측에서 아무런 의사 표시가 없으면 자동으로 계약이 연장되는 것을 말합니다. 이때 임차인에게는 특별한 권리가 주어지는데요, 바로 '언제든지 계약을 해지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주택과 상가, 모두 동일한 규정이 적용됩니다놀랍게도 이 규정은 주택임대차와 상가건물임대차 모두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주택임대차보호법 제6조 .. 2025. 2. 24. 이전 1 다음